카스토르 (항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스토르는 쌍둥이자리 알파별로, 지구 북반구에서 관측하기 좋은 다중성계이다. 1678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에 의해 처음 두 개의 별로 분리되어 관측되었으며, 이후 여러 천문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6개의 별로 구성된 복잡한 항성계임이 밝혀졌다. 카스토르 A와 B는 쌍성으로, 각각 다시 두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카스토르 C는 A-B 계에서 멀리 떨어진 쌍성이다. 카스토르는 자신의 이름을 딴 카스토르 성협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고대 그리스 신화의 카스토르와 폴룩스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동아시아에서는 북하 이(北河二)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스토르 운동성단 - 베가
베가는 거문고자리에서 가장 밝고 밤하늘에서 다섯 번째로 밝은 푸른색 주계열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훨씬 크며, 빠르게 자전하는 특징과 별 주위의 먼지 원반, 그리고 동아시아의 직녀성으로 알려져 있다. - 카스토르 운동성단 - 알데라민
알데라민은 케페우스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오른팔'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했으며 빠른 자전 속도, 특이한 엑스선 방출량, 미래의 북극성이 될 가능성이 있는 분광형 A의 준거성이다. - 용자리 BY형 변광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용자리 BY형 변광성 - 글리제 581
글리제 581은 지구에서 20.3 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으로, 최소 6개의 행성을 거느린 행성계이며, 한때 글리제 581c가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해 주목받았고,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대상으로 2012년에는 거대한 파편 원반이 발견되었다. - 섬광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 섬광성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카스토르 (항성) | |
---|---|
명칭 | |
이름 | 카스토르 A/B/C |
로마자이름 | Castor A/B/C |
관측 정보 | |
![]() | |
적경 | A: B: C: |
적위 | A: B: C: |
겉보기 등급 | A: 1.93 B: 2.97 C: 9.83 |
분광형 | A: A1V + dM1e B: Am + dM1e C: dM1e + dM1e |
색 지수 | A: +0.03 B: +0.04 C: b-v: +1.49, u-b: +1.04 |
연주시차 | 64.12 ± 3.75 밀리초각 |
거리 | 51 ± 3 광년 |
절대 등급 | A: +0.986 B: +1.886 C: +8.950 |
식별 정보 | |
바이어 명명법 | 쌍둥이자리 알파 |
플램스티드 명명법 | 쌍둥이자리 66 |
밝은 별 목록 | A: HR 2891 B: HR 2890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A: HD 60179 B: HD 60178 |
스미소니언 천체 목록 | SAO 60198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36850 |
소천성표 | A: BD+32°1581A B: BD+32°1581B C: BD +32° 1582 |
기타 명칭 | 전체: 카스토르, FK5 287, 글리제 278 A: PLX 1785.00 C: 쌍둥이자리 YY |
2. 관측
카스토르 계는 지구상에 사람이 거주하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볼 수 있지만, 북반구에서 관측하기가 더 용이하다. 카스토르의 적위는 약 북위 32도로,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는 주극성처럼 보여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는다. 그보다 남쪽인 중부 및 남부 유럽, 미국, 중앙아시아 등지에서는 특정 기간을 제외하고 연중 내내 관측할 수 있으며, 특히 10월부터 다음 해 6월 중순까지가 가장 관측하기 좋은 시기이다. 남반구에서는 북반구보다 관측 가능한 날이 적지만, 남위 58도 이북 지역에서는 관측이 가능하다. 이는 남극을 제외한 지구상 거의 모든 곳에서 카스토르를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1678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카스토르가 하나의 별이 아니라 두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음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후 1718년 영국의 천문학자 제임스 브래들리가 이 사실을 확인했다.
우주 망원경 히파르코스의 2007년 측성 자료에 따르면 카스토르의 연주 시차는 64.54 ± 0.12 밀리초각으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계산된 지구로부터 카스토르까지의 거리는 약 15.49 파섹, 즉 50.86 광년이다. 이 거리는 우주적인 기준으로 볼 때 태양과 매우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밤하늘에서는 약 4.5도 떨어져 있는 폴룩스와 함께 쌍둥이자리의 머리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6]
3. 관측 역사
시간이 흘러 카스토르 계의 더 복잡한 구조가 밝혀졌다. 1896년 아리스타크 벨로폴스키는 풀코보 천문대에서 카스토르 B가 분광쌍성임을 발견했고, 1904년에는 미국의 천문학자 헤버 도스트 커티스가 릭 천문대에서 카스토르 A 역시 쌍성임을 알아냈다.[7]
또한, 알프레드 해리슨 조이와 로스코 프랭크 샌포드는 1916년부터 1926년까지 10년간의 관측을 통해 카스토르 C가 A, B와 같은 시차 및 고유운동을 가지는 항성계의 일원임을 밝혀냈다. 이들은 1916년에 카스토르 C 자체도 분광쌍성이라는 사실을 검증했다.[8]
카스토르 A와 B 쌍성 사이의 각거리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1907년 관측 자료에는 이 간격이 2초각으로 기록되었으나,[9] 1997년 관측에서는 7초각으로 늘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두 구성원의 겉보기 등급은 각각 3.0과 1.9이다.
4. 은하 내 위치
카스토르는 태양과 마찬가지로 우리 은하의 오리온 팔 내에 위치하며, 성간 매질이 거의 없는 국부 거품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 카스토르의 은하 좌표는 187.44°, 22.47°이다.[10]
카스토르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 별은 약 5.2 광년 떨어진 글리제 1096으로, 이는 겉보기 등급 14.4의 적색 왜성이다.[11] 주변의 다른 별들 중에는 태양보다 밝은 별들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약 11 광년 거리에 있는 주계열성 쌍둥이자리 로(분광형 F0, 겉보기 등급 4.16)와 쌍둥이자리 37(분광형 G0)이 있다.[12][13]
밤하늘에서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서로 아무런 물리적 관련이 없다. 폴룩스는 카스토르보다 약 17 광년 더 지구에 가까이 있으며, 이 때문에 실제 광도는 카스토르가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지구에서는 폴룩스가 더 밝게 보인다.
4. 1. 카스토르 성협
카스토르는 자신의 이름을 딴 '카스토르 성협'의 구성원이다. 이 성협은 1990년에 발견되었으며[14], 구성원들은 태양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국부표준정지좌표계 기준으로 볼 때 같은 고유 운동을 공유한다. 주요 구성원으로는 카스토르 외에 포말하우트, 베가, 알데라민, 주벤엘게누비 등이 있다.
성협의 특성상 이 별들은 같은 장소에서 거의 동시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원들의 진화 과정을 역추적하면 대기 중에 리튬이 풍부하다는 공통점이 발견되며, 이를 바탕으로 성협의 나이는 약 1억 년에서 3억 년 사이로 추정된다.[15] 따라서 성협의 일원인 카스토르의 나이 역시 이와 비슷할 것으로 여겨진다.
5. 항성계
카스토르는 최소 여섯 개의 별이 서로 중력으로 묶여 복잡한 계층 구조를 이루는 다중성계이다. 이 항성계는 크게 밝은 두 구성원인 카스토르 A와 카스토르 B, 그리고 이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어두운 카스토르 C로 나눌 수 있다.
밝은 두 별 카스토르 A와 카스토르 B는 서로의 질량중심을 약 467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를 이룬다.[5] 이들의 공전 궤도는 궤도 이심률이 0.343으로 다소 찌그러져 있으며,[5] 두 별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107AU (약 160억km)이다.[17][25] 이심률 때문에 가장 가까울 때는 71AU까지 접근하고 가장 멀 때는 138AU까지 물러난다.[25] 밤하늘에서 보이는 두 별 사이의 각거리는 1985년 2.61각초에서 2013년 4.8각초로 점차 벌어지고 있으며, 2085년에는 7.35각초로 최대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5]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계산된 카스토르 A와 B의 합산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5.7배이다.[25]
더욱 복잡하게도, 카스토르 A와 카스토르 B는 각각 그 자체로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두 개의 별로 이루어진 분광쌍성이다. 즉, 카스토르 A는 카스토르 Aa와 Ab로, 카스토르 B는 카스토르 Ba와 Bb로 구성된다.
세 번째 구성원인 카스토르 C는 쌍둥이자리 YY라고도 불리며, 카스토르 AB 계로부터 천구상에서 약 70각초 떨어져 있다(2013년 기준).[5] AB 계와 C 사이의 실제 거리는 최소 1000AU (약 1500억km) 이상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서로의 질량 중심을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최소 1만 4천 년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25] 카스토르 C 역시 두 개의 적색 왜성(Ca와 Cb)으로 이루어진 쌍성이다. 이처럼 카스토르는 총 6개의 별이 세 쌍의 쌍성계를 이루며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독특한 항성계이다.
5. 1. 카스토르 A
카스토르 A는 분광형 A1V에 겉보기 등급 1.93인 별로,[18] 광도는 태양의 약 33배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우 가까이 붙어 있는 두 개의 별, 카스토르 Aa와 카스토르 Ab로 이루어진 분광쌍성이다. 두 별 사이의 거리는 약 300만km에 불과하며, 서로의 질량중심을 약 9.2188일에 한 번씩 공전한다. 이 공전 궤도는 궤도 이심률이 0.503으로 다소 찌그러진 타원 형태를 띤다.[19] 두 별이 매우 가까워 개별적인 특징을 분리하여 관측하기는 어렵지만, 연구 결과 더 밝은 별인 카스토르 Aa는 분광형 A1 주계열성으로, 다른 한쪽인 카스토르 Ab는 왜성으로 추정된다.[20]5. 1. 1. 카스토르 Aa
카스토르 A는 겉보기 등급 1.93[18]의 별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가까이 붙어 서로 공전하는 분광쌍성이다. 이 쌍성계는 카스토르 Aa와 카스토르 Ab 두 별로 이루어져 있다. 두 별 사이의 거리는 약 300만km에 불과하며,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약 9.2188일에 한 번씩 공전한다. 공전 궤도는 궤도 이심률이 0.503으로 상당히 찌그러진 타원 형태이다.[19]두 별이 매우 가까워 물리적 정보를 분리하기 어렵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더 밝은 별인 카스토르 Aa는 분광형 A1 주계열성으로 추정된다. Aa의 표면 온도는 1992년 카이렐 데 슈트로벨이 10,286,000으로[20], 2002년 토레스와 리바스가 9,420,000 ± 100 K으로 측정했다. 카이렐은 Aa의 금속함량이 태양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으며,[20] 토레스는 표면 온도 9,420,000, 광도 태양의 33배, 금속함량 0.01, 나이 1억 ~ 3억 년으로 가정하고 계산한 결과, Aa의 질량이 태양의 약 2.27배일 것으로 추정했다. 카이렐은 Aa의 표면 중력을 4.0g로 계산하기도 했다.[20]
한편, 짝별인 카스토르 Ab는 왜성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분광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1988년 하인츠의 계산에 따르면 카스토르 A 전체 질량은 태양의 2.7배인데, 만약 Aa의 질량이 태양의 2.27배라면 Ab의 질량은 태양의 약 0.45배가 된다. 이 정도 질량이라면 Ab는 뜨거운 M형 또는 차가운 K형 분광형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5. 1. 2. 카스토르 Ab
Aa의 짝별인 카스토르 Ab는 왜성이지만 분광형은 정확히 검증되지 않았다. 1988년 하인츠가 궤도로부터 카스토르 A의 총질량을 태양의 2.7배로 계산한 바 있는데, 만약 Aa의 질량이 태양의 2.27배라면 Ab의 질량은 태양의 0.45배가 된다. 이 질량에 근거하면 Ab의 분광형은 뜨거운 M형이거나 혹은 차가운 K형일 것으로 추정된다.5. 2. 카스토르 B
카스토르 B는 분광형 A2Vm 또는 A5Vm(후자가 더 유력)으로 분류되며, 겉보기 등급은 2.97, 광도는 태양의 약 11배이다.[17][21] 실제로는 카스토르 Ba와 카스토르 Bb라는 두 개의 별로 이루어진 분광쌍성이다. 두 별은 서로 매우 가까운 약 400만km 거리를 두고 있으며, 공동의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2.928일에 한 번씩 공전한다.[17][19] 두 구성원은 매우 가까이 붙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물리적 특성을 분리하여 관측하기는 어렵다. 주인별인 카스토르 Ba는 Am 별의 특징을 보이는 A형 주계열성이며, 동반성 카스토르 Bb는 질량으로 미루어 보아 적색 왜성일 것으로 추정된다.[17]5. 2. 1. 카스토르 Ba
카스토르 Ba는 카스토르 B계를 이루는 두 별 중 주인별이다.[17][19] 카스토르 B 전체의 겉보기 등급은 2.97이며, 광도는 태양의 11배이다.[17][21] 카스토르 Ba는 동반성 카스토르 Bb와 함께 분광쌍성을 이루며, 두 별은 약 400만km 떨어져 서로의 질량중심을 2.928일에 한 번 공전한다.[17][19] 두 별이 매우 가까이 붙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물리적 매개변수를 정확히 분리하여 측정하기는 어렵다.카스토르 Ba는 분광형 A5Vm의 주계열성으로 추정된다. 표면 온도는 연구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었는데, 카이럴(1992년)은 8,842,000으로[20], 토레스(2002년)는 색지수를 기반으로 8,240,000 ± 150으로 계산했다. 토레스 연구진은 이 온도와 함께 광도를 태양의 11배로 놓고, 나이와 금속함량은 카스토르 A와 같다고 가정하여 Ba의 질량이 태양의 1.79배라고 결론지었다. 카이럴은 Ba의 표면 중력 로그값을 g=4.25로 계산했다.[20]
분광형의 소문자 'm'은 이 별이 Am 별임을 나타낸다. Am 별의 스펙트럼에는 특정 금속의 강한 흡수선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카스토르 Ba의 경우 아연, 스트론튬, 지르코늄, 바륨과 같은 금속 성분이 풍부하게 검출되는 반면, 칼슘이나 스칸듐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22] 이러한 현상은 보통 항성의 자전 속도가 느릴 때 발생한다. 느린 자전으로 인해 무거운 원소는 항성 내부로 가라앉고, 특정 원소들이 표면으로 떠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분광형 A형의 주계열성은 빠르게 자전하지만, Am 별들은 쌍성계 내에서 동반성의 기조력 영향을 받아 자전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많다.[22]
5. 2. 2. 카스토르 Bb
카스토르 Bb는 주계열성으로, 정확한 분광형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카스토르 B 전체 질량(태양의 2.11배)과 카스토르 Ba의 질량(태양의 1.79배)의 차이를 계산하면, Bb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0.32배로 추정된다.[17] 이 정도 질량은 분광형상 적색 왜성에 해당한다.[17] Bb는 동반성인 카스토르 Ba에서 나오는 코로나와 여기에 실려 오는 엑스선의 영향으로 플레어 별처럼 플레어 폭발이 자주 일어날 것으로 추정된다.[23]5. 3. 카스토르 C
카스토르 C 또는 쌍둥이자리 YY는 분광형 dM1e의 항성으로,[24] 여기서 'd'는 왜성을, 'e'는 스펙트럼에 방출선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겉보기 등급은 9.83이다.[24] 카스토르 C는 두 개의 적색 왜성 Ca와 Cb로 이루어진 분광쌍성이다.2013년 기준으로 카스토르 C는 카스토르 AB 계로부터 밤하늘에서 약 70초 떨어져 있으며,[5] 연주시차와 고유운동이 AB 계와 같다. AB와 C 사이의 각거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줄어들고 있다.[5] 카스토르까지의 거리를 고려하면, AB 계와 C 사이의 실제 거리는 최소 1000AU (약 1500억km)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서로의 질량 중심을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최소 1만 4천 년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25]
그러나 1991년 아노소바와 오로브는 카스토르 C가 AB 계와 중력적으로 묶여 있지 않고 잠시 스쳐 지나가는 과정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C의 궤도가 타원형일 확률은 40%, 쌍곡선 궤도일 확률은 60%라고 계산했으며, 만약 쌍곡선 궤도라면 C는 수천 년 후 AB 계의 중력 영향권에서 벗어날 것이다.[26]
카스토르 C를 구성하는 두 별 Ca와 Cb는 매우 가까이 붙어서 서로를 공전하며, 공전 주기는 약 0.81일(19.5시간)에 불과하다. 이들은 공전 중 서로를 가리는 현상(식 현상)을 보이는데, 이 때문에 카스토르 C는 질량이 작은 항성들의 특성을 정밀하게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항성계로 여겨진다.
5. 3. 1. 카스토르 Ca
카스토르 Ca는 카스토르 C를 구성하는 두 항성 중 하나이다. 카스토르 C는 구성원 Ca와 Cb가 매우 가까이 붙어서 서로를 공전하는 분광쌍성이며, 공전 중 서로를 가리는 현상이 관측되어 두 별의 궤도와 물리적 특성을 정밀하게 연구하는 데 중요한 항성계이다.토레스와 리바스(2002년)의 연구에 따르면, Ca와 Cb의 궤도는 이심률이 0.003으로 거의 원형에 가깝고, 궤도 경사각은 86.29° ± 0.10°로 지구에서 보았을 때 거의 평행하다. 이 때문에 두 별이 서로를 가리는 식 현상이 발생한다. 공전 주기는 0.81428일(약 19.54시간)로 매우 짧으며, 두 별 사이의 평균 거리는 약 2700000km (지구-달 거리의 약 7배)이다.
Ca의 분광형은 Cb와 마찬가지로 M1Ve이며, 이는 적색 왜성에 해당한다. 시선 속도 측정 결과 두 별의 질량이 거의 같음이 밝혀졌다 (Ca/Cb 질량비 = 1.0056 ± 0.0050). 토레스는 Ca의 질량을 태양 질량의 0.5975 ± 0.0047배로 계산했다.
Ca와 Cb는 밝기와 크기도 거의 비슷하다. 평균 밝기는 태양 광도의 0.0733 ± 0.0015배이며, 표면 온도는 약 3820 K이다.[27][28] 평균 반지름은 태양 반경의 0.6191 ± 0.0057배이고, 이를 통해 계산된 평균 밀도는 13.56 g/cm3, 표면 중력은 4.63 log g이다.
Ca는 매우 활발한 활동성을 보이는 항성이다. 표면의 저위도 및 중위도 지역, 특히 적위 45도 부근에 거대한 흑점들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29] 또한, 항성 코로나를 가지고 있으며 엑스선을 방출한다.[30][31][32] XMM-뉴턴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코로나는 항성 표면에서 100km에서 4000000km 높이까지 뻗어 있으며, 온도는 평상시 200만 ~ 1500만 K 사이이지만, 플레어 폭발 시에는 4천만 K까지 치솟기도 한다.[33] 2000년 플레어 폭발 당시에는 항성 표면으로부터 약 10000km (반지름의 약 5%) 상공에 별을 둘러싼 자기장 고리가 형성된 것이 관측되었다.[33] 이후 찬드라 엑스선 망원경의 추가 관측에서는 이 자기장 고리가 두 별 반지름의 1.8배에 달하는 거리까지 확장되어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는 Ca와 Cb의 코로나가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9]
5. 3. 2. 카스토르 Cb
카스토르 Cb는 항성 카스토르 Ca와 함께 카스토르 C계를 이루는 분광쌍성의 일원이다. 카스토르 C는 Ca와 Cb 두 적색 왜성이 서로 매우 가까이 붙어 공전하는 구조이다. Cb는 Ca와 질량, 분광형, 밝기, 온도, 반지름 등 대부분의 물리적 특징이 거의 동일하여 마치 쌍둥이와 같다.토레스와 리바스(2002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스토르 Cb의 분광형은 M1Ve로 Ca와 같다. 이는 Cb가 주계열성이며 스펙트럼에서 방출선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가졌음을 의미한다. Cb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0.6009 ± 0.0047배로, 태양 질량의 0.5975 ± 0.0047배인 Ca와 거의 차이가 없다. 두 별의 질량비(Ca/Cb)는 1.0056 ± 0.0050으로 1에 매우 가깝다.
Cb의 밝기는 Ca와 거의 같으며, 평균적으로 태양 광도의 0.0733 ± 0.0015배이고, 표면 온도는 약 3,820,000이다. 반지름 또한 Ca와 거의 같아 평균적으로 태양 반지름의 0.6191 ± 0.0057배이다. 이 질량과 반지름 값을 통해 계산한 평균 밀도는 13.56 ± 0.10 g/cm3이며, 표면 중력은 4.63 log g로 측정되었다.[27][28]
카스토르 Cb는 Ca처럼 매우 활발하게 에너지를 방출하는 항성이다. 별 표면의 저위도에서 중위도에 걸쳐 거대한 흑점들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적위 45도 부근에 흑점이 집중되어 있다.[29] 또한 Cb는 항성 코로나를 가지고 있으며 엑스선을 방출한다.[30][31][32] XMM-뉴턴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이 코로나는 항성 표면으로부터 100만km에서 400만km 높이까지 뻗어 있으며, 온도는 에서 사이로 측정되었다. 때때로 플레어 폭발이 일어나면 코로나 온도가 까지 치솟기도 한다.[33] Cb의 코로나가 Ca의 코로나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9]
6. 물리적 성질
카스토르를 구성하는 여섯 별의 물리적 성질은 아래 표와 같다. 카스토르 Ca, Cb 자료에서 셀이 합쳐진 부분은 두 별 값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분류기준 | 구성원 | |||||
---|---|---|---|---|---|---|
Aa | Ab | Ba | Bb | Ca | Cb | |
분광형 | A1V | dM1e | A5Vm | dM1e | dM1e | dM1e |
질량 (태양질량) | 2.27 | 0.45 | 1.79 | 0.32 | 0.5975 | 0.6009 |
지름 (태양반경) | 2.24 | ? | 1.71 | ? | 0.6191 | |
광도 (태양광도) | 33 | ? | 11 | ? | 0.0733 | |
표면중력 (log g) | 4.2 | ? | 4.0 | ? | 4.6317 | |
표면온도 (K) | 10286 | ? | 8842 | ? | 3820 | |
자전속도 (km/s) | 18 | ? | 33 | ? | 37 | |
금속함량 [Fe/H] | 0.98 | ? | 0.45 | ? | ~0.0 | |
a-b 공전주기 (일) | 9.2188 | 2.928[19] | 0.81 | |||
A-B 공전주기 (년) | 467[5] | — | ||||
AB-C 공전주기 (년) | 14000~[25] |
7. 이름 및 문화
고유명칭 카스토르와 폴룩스는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제우스와 레다 사이의 쌍둥이 아들 카스토르와 폴룩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들이 속한 별자리 이름 또한 '쌍둥이자리'이다. 밤하늘에서 카스토르는 폴룩스와 함께 쌍둥이의 머리 부분에 위치한다.[6] 아랍 문화권에서도 두 별을 '쌍둥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했으며, 카스토르를 아랍어로 '알-라스 알-타움 알-무카딤'(رأس التوأم المقدم|Al-Ras al-Taum al-Muqaddimara)이라 불렀는데, 이는 '쌍둥이 중 첫째(또는 앞서가는 자)의 머리'라는 의미이다.[34]
고대 그리스에서는 카스토르를 아폴론 신의 상징으로 여겼다. 이로 인해 '아펠론', '아펠란', '아풀럼', '아펠라', '아벨라' 등 다양한 변형된 이름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명칭들은 18세기까지 사용되었다.[34]
밤하늘에서 카스토르는 폴룩스와 가까이 있고 밝기도 비슷하여,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는 이 둘을 '동급의 존재 둘'로 인식해왔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비니'(짐승에 올라탄 자들) 또는 '미투나'(소년과 소녀)로, 페르시아에서는 '두 파이카르'(두 개의 형상)로, 아시리아에서는 '마스-마스'(쌍둥이)로 불렀다. 바빌로니아에서는 카스토르와 폴룩스를 합쳐 '마스-타브-가-갈-갈'(큰언니)로, 카스토르만을 지칭할 때는 '마시-마슈-마흐루'(서쪽의 쌍둥이)라고 불렀다. 힌두 달력에서는 일곱 번째 나크샤트라에 해당하며, 이 구간의 이름인 '푸나르바수'는 '두 개의 ~'라는 뜻을 지닌다.[34]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달력》에 실린 성표에는 카스토르가 '아울 알 드지라'(أول الذراع|Awwal al Dhiraara)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첫 번째 앞발'이라는 뜻이다.[35] 이 명칭은 사막 유목민들이 상상한 거대한 사자 '아사드' 형상에서 유래한 표현이다.[36]
요한 바이어는 천구 별자리를 정리하며 카스토르에 쌍둥이자리의 알파(α) 기호를 부여했다. 하지만 카스토르의 겉보기 등급은 1.15로, 폴룩스(β별)보다 어둡기 때문에 바이어 명명법의 일반적인 규칙(가장 밝은 별부터 어두워지는 순서로 그리스 알파벳 부여)에 맞지 않는다.[39] 이 불일치에 대해 몇 가지 설명이 제시되었다. 첫째, 바이어가 관측할 당시에는 카스토르가 더 밝았으나 이후 밝기가 변했을 수 있다는 가설이다. 둘째, 앤서니 배럿은 2006년 기고문에서 바이어가 다른 별자리에서도 자신의 원칙을 항상 지키지는 않았으며, 과거 문헌에서 '카스토르와 폴룩스' 순서가 보편적이었기에 이를 따랐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밤하늘에서 카스토르가 폴룩스보다 먼저 뜨기 때문에 먼저 뜨는 별에 알파를 부여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40]
점성학에서는 카스토르가 '날카로운 지성', '여행에서의 성공', '빠른 성공과 명성'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동시에 불행, 손해, 질병을 동반할 수도 있다고 믿었다. 또한 카스토르가 떠오를 때 태어난 사람은 악함과 폭력성을 띠기 쉽다고 보았다.[41]
7. 1. 동아시아의 별자리
중화권에서는 카스토르, 폴룩스, 쌍둥이자리 로 세 별을 '''북하'''(北河, 북쪽 강)로 표기했다.[37] 이 중 카스토르는 '북하에서 두 번째 별'이라는 뜻인 '''북하이'''(北河二)로 표기했다.[38]참조
[1]
저널
SB9: The ninth catalogue of spectroscopic binary orbits
[2]
저널
The Castor moving group. The age of Fomalhaut and VEGA
[3]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4]
저널
The Castor moving group. The age of Fomalhaut and VEGA
[5]
저널
The Castor system
http://adsabs.harvar[...]
2016-04-18
[6]
서적
The Brightest Stars: Discovering the Universe through the Sky's Most Brilliant Star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Incorporated
[7]
저널
The system of Castor
http://cdsads.u-stra[...]
2016-04-18
[8]
저널
The dwarf companion to Castor as a spectroscopic binary and eclipsing variable
http://cdsads.u-stra[...]
2016-04-18
[9]
저널
Micrometer Observations of Double Stars and New Pairs - Part Ten
[10]
웹인용
Castor - Double or Multipl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4-18
[11]
웹인용
GJ 1096 - Flar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4-18
[12]
웹인용
LTT 12027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4-18
[13]
웹인용
37 Gem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4-18
[14]
저널
The dynamical evolution of the nearby multiple stellar systems ADS 48, ADS 6175 (Alpha Geminorum = Castor), Alpha Centauri, and ADS 9909 (Xi Scorpii)
http://cdsads.u-stra[...]
2016-04-18
[15]
저널
The Castor moving group. The age of Fomalhaut and Vega
http://adsabs.harvar[...]
2016-04-18
[16]
저널
Chandra study of the eclipsing M dwarf binary, YY Gem
2012-06
[17]
웹인용
Castor 6
http://www.solstatio[...]
2016-04-18
[18]
웹인용
Castor A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4-18
[19]
저널
Photometric tests of spectroscopic binaries
http://adsabs.harvar[...]
2016-04-18
[20]
저널
A catalogue of Fe/H determinations - 1991 edition
http://adsabs.harvar[...]
2016-04-18
[21]
웹인용
Castor B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4-18
[22]
웹인용
Am star
http://www.daviddarl[...]
2016-04-18
[23]
저널
Castor A and Castor B resolved in a simultaneous Chandra and XMM-Newton observation
http://adsabs.harvar[...]
2016-04-18
[24]
웹인용
V* YY Gem -- Variable of BY Dra type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4-20
[25]
웹인용
Castor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6-04-20
[26]
저널
The dynamical evolution of the nearby multiple stellar systems ADS 48, ADS 6175 (Alpha Geminorum = Castor), Alpha Centauri, and ADS 9909 (Xi Scorpii)
http://adsabs.harvar[...]
2016-04-20
[27]
저널
A Photoelectric Study of the Dwarf M Eclipsing Variable YY Geminorum
http://cdsads.u-stra[...]
2016-04-20
[28]
저널
YY Geminorum. I - Photometry and absolute dimensions
http://adsabs.harvar[...]
2016-04-20
[29]
저널
Chandra study of the eclipsing M dwarf binary, YY Gem
http://adsabs.harvar[...]
2016-04-20
[30]
저널
A periodicity in the flaring rate on the eclipsing binary YY Geminorum
http://adsabs.harvar[...]
2016-04-20
[31]
저널
Flare activity and orbital rotation of YY Geminorum
http://adsabs.harvar[...]
2016-04-20
[32]
저널
ROSAT All-Sky Survey X-ray and EUV observations of YY Gem and AU Mic
http://adsabs.harvar[...]
2016-04-20
[33]
저널
The XMM-Newton view of stellar coronae: Coronal structure in the Castor X-ray triplet
http://cdsads.u-stra[...]
2016-04-20
[34]
서적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http://penelope.uchi[...]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16-04-20
[35]
저널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36]
저널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http://adsabs.harvar[...]
2016-04-20
[37]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38]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6-04-17
[39]
웹인용
Pollux -- Variable Star
http://simbad.u-stra[...]
2016-04-18
[40]
저널
Johann Bayer and the Relative Magnitudes of α and β Geminorum
http://adsabs.harvar[...]
2016-04-18
[41]
웹인용
Castor
http://www.constella[...]
2016-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